본문 바로가기
국외의 경제

인도의 발전 가능성 : 세계 경제의 새로운 강자 (인도를 눈여겨 봐야할 이유)

by 문소장 2025. 3. 25.
반응형

내가 가보고 싶은 인도의 타지마할

인도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대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14억명이 넘는 인구, IT 산업의 발전, 제조업 성장,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인도의 경제 성장을 뒷받침 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명목 GDP 세계 5위, 구매력 평가 기준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으로 자리 잡은 인도는 향후 수십 년 동안 세계 경제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 본 글에서는 인도의 발전 가능성을 경제, 인구, 산업, 기술, 정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보겠다.

인도의 경제 성장 동력

빠른 GDP 성장률

인도의 경제는 최근 몇 년 동안 연평균 6~7%대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세계은행과 IMF에 따르면, 인도는 향후 10년 동안 세게에서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의 주요 요인은 강력한 내수시장, 외국인 직접 투자(FDI)증가, IT 및 서비스 산업 잘전, 제조업 확대 등이다.

 

인구 증가와 노동력 확보

인도는 2023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이 28세로 매우 젊은 국가이다. 이는 장기적인 노동력 확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비교적 저렴한 노동력 덕분에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를 제조 허브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다. 

평균연령에 대한 비교로는 한국과 비교해보자면 한국인의 평균연령은 약 45세로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이다. 중국도 현재 한 명만 낳아서 잘 기르자던 산아제한의 부작용으로 성비 불균형, 고령화,노동력 감소가 나타났고 현재 2021년 이후 세 자녀 정책으로 전환이 되었지만 출산율은 낮은 상태이며, 중국인의 평균 연령은 38세이다. 인도는 청년, 중국은 장년, 한국은 중년이다. 이렇게 비교하니 인도가 젊은 나라임을 확실하게 깨닫는다.

인도는 청년, 중국은 장년, 한국은 중년을 묘사한 그림

산업 발전과 글로벌 투자 증가

IT 및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

인도는 오랫동안 IT 강국으로 자리 잡아 왔으며, 방갈로르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릴 정도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인도의 IT 산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AI 및 블록체인 기술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제조업 및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 

인도 정부는 'Make in India' 정책을 통해 제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 애플, 삼성, 폭스콘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에 공장을 설립
  •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인해 인도가 '차이나 플러스 원 (china+1) 전략의 핵심 국가로 떠오름.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른 국가로 생산 기지를 다변화 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이 전략은 특히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중국 내 인건비 상승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주목받았다. 기업들은 중국 외의 대안으로 베트남, 인도, 태국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제공하며,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분산 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전략은 특히 제조업에서 두드러졌다.
  • 자동차, 전자기기, 반도체, 의약품 제조업이 급속도로 성장

정부의 인프라 개선 및 규제 완화 정책이 제조업 성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프라 및 도시개발

교통 및 물류 인프라 확대

인도 정부는 도로, 철도, 항만 등 인프라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 델리-뭄바이 산업 회랑 프로젝트
  • 고속철도 (인도판 신칸센) 및 메트로 시스템 확장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주요도시 현대화 진행

이러한 인프라 개선은 물류 비용 절감 및 기업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스마트 시티 및 도시화 증가

인도는 도시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 중이며, 2030년까지는 인구의 4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 IT, 금융, 서비스업 중심의 도시 발전
  • 인프라 및 생활 수준 개선으로 외국인 투자 증가

도시화는 경제 성장과 소비시장 확대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인도의 도시화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

위의 동영상의 제목처럼 인도가 도시화 되가는 과정이 과거의 한국과 비슷하다. 우리나라가 한강의 기적을 일으킨 것 처럼 인도도 현재 겐지스강의 기적을 일으키고 있다. 심지어 인도는 우리보다 인구가 27배나 많다. 

 

기술혁신과 스타트업 생태계

스타트업 붐과 유니콘 기업 증가

인도는 미국, 중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유니콘 스타트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이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이다. 

  • 2023년 기준 유니콘 기업 100개 이상 보유
  • 전자상거래, 핀테크, 헬스테크, AI, 에듀테크 분야에서 성장
  •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 활성화

특히 전자결제, AI 기반 서비스 등 혁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스타트업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인도출신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

공룡기업 구글의 인도출신 CEO

이제는 세계적인 대기업이자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구글의 CEO가 인도 출신이라는 사실은 인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가적 자부심이 고취될 뿐만 아니라, 순다르 피차르 라는 거대한 롤모델의 탄생만으로도 많은 인도인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줄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박지성 선수가 영국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한 이후 손흥민, 황희찬과 같은 월드클래스 선수들이 잇따라 세계무대로 나아갔다. 이는 누군가가 먼저 길을 개척하면 그 뒤를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도를 끝까지 주시하자

인도는 인구, 경제 성장률, 산업 발전, 기술 혁신, 정책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높은 발전 가능성을 지닌 국가이다. IT  및 제조업 성장, 외국인 투자 확대, 디지털 경제 발전 등은 인도의 미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있지만, 적절한 정책과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인도는 향후 10~20년 내에 세계 3대 경제 강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인도 경제의 향후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며, 글로벌 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인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